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자기계발

[재테크/부동산] 서울 전세 시장... 예상대로 흘러 간다?!

by 아침주부 2025. 4. 30.

 

서울 전세시장... 예상대로 흘러 간다?!

 


 

 

올해 리모델링 추진중인 단지를 매수하고 현재 여러가지 상황들이 하나씩 정리가 되고 있다 보니  또 스멀스멀 걱정이 올라오기 시작한다. 

 

하나를 해결하고 나면 마음이 평안해 지는 날이 있어야 하는데 걱정을 만들어서 하는 타입이다 보니 걱정해결=이 다음 걱정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고 마네

 

2025년 하반기... 적어도 2026년에는 전세살이를 시작해야 할 것 같은데 이주비대출이 많이 나올 것 같지 않아 적은 돈으로 어떻게 전세를 구해야 할지 그리고 그 시점에 전세가격이 상승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또는 전세가 없으면 어쩌지) 등을 고민하는 것이다. 

 

오늘 아침에 본 부동산 관련 유튜브 영상에서도 수도권 부동산의 전세시장에 대해서 깊이 있는 이야기가 나왔다.

 

다들 정권이 어떻게 바뀔지 보느라 (너무너무 중요하긴 하지만) 현재 코앞에 다가온 전세공급에 대해서는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는 듯 해서 다시 한 번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2025년 상반기 현재,
전국의

전세시장은 어떤 상황일까?

 

 

📈 수도권: 전세 수요 증가와 가격 상승

 

서울과 수도권 지역은 전세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신축 아파트나 역세권 아파트 등 선호도가 높은 지역에서 더 두드러지는 현상임결국 입주물량으로 귀결되는데 입주물량이 부족한 것은 몇년 전부터 예정되어 있었고, 그동안 과도한 다주택자 규제로 인해 기존 전세물건마저 줄어들었던 결과가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 전세 대출 규제 완화(지난번에 이야기 한대로 여전히 DSR규제를 받지 않음) 등 계속해서 상승할 요인만 가득하네

 

📉 지방: 공급 과잉과 가격 하락

 

지방을 하나로 퉁 쳐서 말하기는 어렵지만 울산, 전주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방의 전세가격이 하락하거나 정체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수요가 적은 지방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공급"이란 놈 때문에 입주물량이 많은 곳은 매매고 전세고 다 무너져 있는 상황

 

현재 거주하고 있는 부산에서는 10여년간의 공급이 어느정도 정리가 되고, 향후 공급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반영해서인지 스멀스멀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그리고 그걸 몸으로 체감하고 나니(작년 기준으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집의 전세가격이 8천 올랐다) 공급에 대한 중요성을 더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다. 

 

수요가 적은 지방은 공급이 무지무지 중요하다.

 

(그런데 왜 거길 샀니...)

 

🔄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 가속화 

부족한 전세물량과 전세사기에 대한 여전한 우려로 전세의 월세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 특히 다주택이나 연립주택, 오피스텔 등에서도 월세화가 많이 일어나는 상황인 듯 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나라에서 전세가 없어질까?

그건 절대 아니라고 생각한다. 

 

결국 무주택자들의 선택은 안정적인 전세가 될 것

 

✅ 앞으로는

앞에서도 언급했듯 공급이 부족한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 게다가 그 동안 다주택자 규제로 인해 다주택자들이 대부분 똘1채로 넘어가면서 더더욱 전세부족현상을 부추겼다고 생각한다.

정부의 규제가 심해질수록 더 빠르게 나타날 것

솔직히 정권이 바뀐다고 해도 바보(?)가 아닌 이상 현재 시장의 악재를 더욱 악화시키진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통화량을 늘리는 정책은 차치하더라도) 현재 눈앞에 닥친 전세시장의 어려움을 고려하는것에 좀 더 무게를 둬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계갱권이 살아있으니 일단 진입이라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당장 공급이 딱 하고 드러나진 않더라도 국민들이 불안하지 않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많이 마련해줬으면...

 

 

@픽사베이